장례 3일차: 마지막 배웅,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

장례 3일차 아침이 밝아오면, 지난 이틀간의 슬픔과 분주함이 교차하며 비로소 마지막 여정의 시작을 실감하게 됩니다. 이 날은 고인을 장례식장에서 모시고 나와 영원한 안식처로 모시는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3일장 절차 및 일정 중, 이 마지막 날의 과정들을 당신과 함께 차분히 짚어보려 합니다.

마지막 배웅을 위한 준비

장례 3일차의 이른 아침은 발인 준비로 시작됩니다. 유족들은 고인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정성껏 살피며 수의를 정리하고 관을 준비하는 등 최종 점검을 합니다. 이 과정은 고인과의 마지막 인사를 나누는 시간이기도 하기에, 슬픔 속에서도 차분하게 진행됩니다.

발인 준비가 끝나면 장례식장 또는 자택에서 발인제를 지냅니다. 발인제는 고인을 떠나보내기 전 올리는 의식으로, 영원한 안식을 기원하며 작별을 고하는 자리입니다. 종교나 가풍에 따라 제사 방식이 다를 수 있으며, 간소하게 진행되기도 합니다.

고인과 함께 떠나는 길

발인제가 끝나면 운구(運柩)가 시작됩니다. 유족이나 운구 요원들이 고인이 모셔진 관을 들고 장례식장을 나서 운구 차량으로 이동합니다. 이 순간, 함께했던 공간을 떠나는 고인의 뒷모습을 보며 많은 이들이 눈물을 흘립니다.

운구 차량(장의버스 또는 리무진)에 고인을 모시고 나면, 유족과 조문객들은 미리 정해진 차량을 이용해 장지(葬地), 즉 화장터나 묘지로 함께 이동합니다. 장지로 향하는 길은 고인의 마지막 여정을 동행하는 의미 깊은 시간입니다.

영원한 안식처로 모시는 절차

장지에 도착하면 선택한 안치 방법에 따라 절차가 진행됩니다. 화장, 매장, 봉안 등 방식은 다르지만, 고인을 편안하게 모시기 위한 마음은 같습니다.

화장을 선택했을 때

화장을 선택한 경우, 화장터에 도착하여 관련 서류를 접수하고 대기합니다. 정해진 순서가 되면 고인을 화장로로 모시게 됩니다. 화장 시간은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유족들은 정해진 공간에서 대기하며 고인의 마지막 과정을 기다립니다.

화장이 끝나면 유골 수습이 이루어집니다. 화장로에서 나온 유골을 수습하여 분골하고, 준비된 유골함에 담습니다. 유골 수습은 화장터 직원의 도움을 받아 진행되며, 유족이 직접 참여하기도 합니다. 이 유골함은 이후 봉안당이나 자연장지 등으로 옮겨 안치됩니다.

매장을 선택했을 때

매장을 선택한 경우, 미리 준비된 묘지에 도착하여 하관(下棺) 절차를 진행합니다. 하관은 고인이 모셔진 관을 광중(묘혈)으로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족들은 슬픔 속에서 고인의 관이 땅속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지켜봅니다.

하관 후에는 성분(成墳)을 합니다. 관 위에 흙을 채워 넣고 봉분(무덤)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평토제(平土祭)를 지내며 매장 절차를 마무리합니다. 이는 묘지에서 고인께 마지막 인사를 올리는 의식입니다.

다양한 안치 방법

화장 후 유골을 모시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봉안으로, 유골함을 봉안당(납골당)의 안치단에 모시는 방식입니다. 실내 또는 실외 봉안당이 있으며, 유족들은 이곳에 방문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연 친화적인 안치 방법도 많이 선택됩니다. 수목장은 나무 아래 유골을 묻거나 뿌리는 방식이죠. 잔디에 뿌리는 잔디장, 화초 주변에 묻는 화초장 등 다양한 자연장(自然葬)도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든, 당신과 가족의 뜻에 따라 고인을 가장 편안하게 모실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유족의 선택을 존중하고 돕는 데 집중합니다.

모든 절차를 마친 후

장지에서의 모든 안치 절차를 마친 후에는 장례에 참여했던 이들과 함께 장례식장이나 자택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3일간의 길고 힘들었던 여정을 마무리하고 일상으로 돌아가는 시간입니다.

장례 후에는 삼우제(三虞祭)를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삼우제는 장례를 치른 지 세 번째 되는 날(탈상일)에 지내는 제사로, 고인을 다시 한번 기리고 영원한 안식을 비는 의식입니다. 보통 장지나 봉안당에서 지내지만, 여건에 따라 자택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유족과 조문객을 위한 당부

장례 3일차는 유족에게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가장 힘든 날일 수 있습니다. 모든 절차가 마무리될 때까지 긴장을 놓지 않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남은 장례 비용 정산이나 장례 물품 반납 등 후속 처리 사항을 챙기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유족 자신의 몸과 마음을 돌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조문객의 경우, 3일차 발인이나 장지 이동에 동행하는 것은 매우 가까운 관계이거나 사전에 조율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만약 함께하게 된다면, 유족의 슬픔을 헤아려 최대한 차분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며 마지막 가는 길을 함께 배웅하는 마음으로 동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례 3일차는 고인과의 물리적인 작별을 고하고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시작하는 날입니다. 우리는 당신과 가족이 마지막 여정을 존엄하고 차분하게 마무리하도록 돕는 것에 진심을 다합니다.

관련 블로그